wifi 제품이기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원이 점점 서비스를 줄여나가고 있습니다
소통은 이미 오래전부터 제대로 안 하고 서버 이슈는 유명하고요
언제 서비스 중단될지 폐업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지그비용 시하스라는 브랜드의 제품도 있네요
저는 교체합니다
스마트싱스에도 wifi버전 나왔는데 비싸고 설치비 매번 발생 합니다
지금 집은 1층 입구에 계량기가 있어서 사실 에너지 미터가 필요 없다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잘 안 보게 됩니다
그런데 지난달보다 이번 달 사용량이 많이 늘었더라고요
이사 가도 사용 가능하니 그냥 샀습니다
구성품은 전류 측정 센서(CT)와 본체, 전원 케이블입니다
차단기 내부입니다
설명서 보고 전원 케이블의 검은선은 노란색에 연결하고
흰색선은 검은색에 연결했습니다
그리고 CT는 노란 선에 연결했습니다
CT방향은 이해하기 좀 힘들었는데 어차피 연결해보고 수치가 이상하면 반대로 돌리면 됩니다
설치를 하고 에너지 미터는 차단기 커버에 붙이고
케이블은 안에 넣지 않고 그냥 묶어서 정리했습니다
안에 넣는 것이 더 깔끔하긴 하지만 어차피 패드릭 포스터로 가릴 거라 상관없습니다
다원 앱에는 이렇게 나옵니다
Wh단위가 주로 나오는 것 같지만
작게 kWh단위도 나와서 이 단위만 보면 될 듯합니다
수치가 설치 기준으로 측정되는 것 같고 요금도 설치 기준인 것 같네요
설정에 검침일, 고압, 저압 등 설정이 가능하니
검침일 되면 초기화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스마트싱스에는 이 정도의 정보만 나옵니다
스마트싱스 ST에너지 화면입니다
여기서는 그래프로 지난달과 비교를 해주고
사용량, 예상요금을 보여줍니다
한전 기준 누진단계가 넘어가면 알림도 해줍니다
단순히 사용전력, 예상요금만 확인도 가능하지만
사용량에 따라 자동화 설정도 가능할 듯합니다
다원 앱, ST에너지에는 검침일 설정이 가능하여 검침일 기준으로 초기화되어 나옵니다
그런데 ST에 등록된 에너지 미터 자체는 다원 앱에서 초기화된 데이터가 아닌 자체적으로 1일 기준으로 사용량이 표시됩니다
단순히 정보를 보기에는 ST에너지를 보면 되기에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자동화를 한다면 아마 해당 부분이 단점으로 적용될 듯합니다
지난달 실제 요금은 20 kWh차이인 듯하고 금액은 700원 정도 차이가 있네요
그런데 며칠 전 다원 서버 오류로 거의 하루를 측정을 못 했습니다
역시 wifi장비의 최대 단점이네요
어웨어 2세대(공기질측정기) (0) | 2021.12.08 |
---|---|
미 커넥터 이용중 격은 오류?몰랐던 부분?해결 방법? (0) | 2021.10.24 |
미 커넥터 토큰 추출 (0) | 2021.07.28 |
샤오미 선풍기 4세대 pro(내수용) ST에 연동하기 (9) | 2021.07.28 |
어웨어 민트 (공기질 측정기) (0) | 2021.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