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형광등이 전구형이라 이라이트 전구로 형광등을 제어했고
동선이 먼 주방은 스위치봇을 구매하여 사용을 했습니다
최근에 스마트싱스 국내 출시를 하면서 ST를 메인으로 하면서
스위치를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구성품은
본체? / 커버 / 노이즈 필터 / 나사 / 스티커 / 설명서
구매 전에 기존의 스위치를 분리해서 확인을 하고 구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위에 흰색 2개가 1구, 2구이고 노란색이 3구입니다
그리고 가장 위에 있는 빨간색이 전원입니다
아래 빨간색은 점프선이고요
※ 스위치를 교체하기 전에는 꼭 차단기를 내려 주세요
제품 설명서에 보면 1, 2, 3구 / 전원의 위치가 나옵니다
각 구멍에 맞게 연결을 하고 차단기를 올려 잘 동작하는지 확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설치를 하고 헤이홈이나 ST에 연결을 해주시면 됩니다
커버까지 씌우면 혹시 초기화할 일이 생기면 누르기 불편합니다
zigbee방식이라 바로 ST에 연결이 가능한데
관련 DTH를 설치 안 하고 연결을 해서 처음에 당황했습니다
그냥 Thing으로 등록이 되고 아무 동작을 안 하더라고요
cafe.naver.com/stsmarthome/18851
위 자료를 보고 DTH를 설치 후 재등록하니 정상적으로 등록이 되네요
이제 커버를 씌우면 끝입니다
전원이 On이 되면 해당 스위치에 led가 꺼지고
전원이 Off가 되면 해당 스위치의 led가 켜집니다
잔광이나 깜빡임이 있을까 걱정을 했는데
다행히 아무런 문제가 없네요
매번 자동화를 만들 때마다 전구 3개를 각각 설정을 해줬어야 했는데
이제 해당 스위치만 조작하면 되기에 편합니다
다원같이 아날로그식 디자인과 작동방법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저는 혼자 살기에 아마 버튼을 누를 일은 없을 듯합니다
테스트해본다고 몇 번 눌러봤는데 나쁘지 않습니다
제가 활용하고 있는 자동화는
기상시간, 저녁 시간, 켜놓고 잠든 경우에 형광등을 사용하고
발코니는 동작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일몰 이후에 동작이 감지되면 켜지고
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꺼지게 해 놨습니다
부엌은 AI스피커를 통해 켜고 끄고 있습니다
전구에 따라서 잔광이 생기기도 하는 것 같은데
등이 콘덴서를 설치하기 힘든 구조라
제가 이런저런 전구로 테스트해본 결과 플리커 프리 제품을 사용하면 잔광이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헤이홈 홈 카메라 (0) | 2020.12.05 |
---|---|
다원 스마트 플러그(wifi) (0) | 2020.12.04 |
개인적으로 막 적는 웹 코어 용어 (0) | 2020.11.10 |
스마트싱스 동작감지 센서 (0) | 2020.11.07 |
스마트싱스 문열림 센서 (0) | 2020.11.07 |